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3)
졸음을 정량화하기 과도한 졸음을 정량화하는 방법들: 다중수면잠복기검사(MSLT), 각성유지검사(MWT), 엡워스 졸림증 척도(ESS) 등을 통해 주간 졸림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면장애를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졸음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와 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검사들의 적응증, 방법, 해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배경 과도한 졸음은 각성과 경계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느끼는 졸림으로 정의되며, 이는 이환율과 사망률 증가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졸림은 부정확할 수 있어, 객관적으로 졸음의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검사들이 개발되었습니다. 2. 졸음을 정량화..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를 이용한 수면 중 호흡장애의 평가 수면 중 호흡장애는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 중추성 수면무호흡(Central Sleep Apnea, CSA), 수면 관련 저환기 등 여러 질환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수면 중 비정상적인 호흡 사건과 연관되어 부정적인 임상결과를 초래합니다. 각 질환은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지만, 병력과 신체검사만으로는 확진이 어려우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검사가 필요합니다. 수면 중 호흡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현재의 표준검사는 야간수면다원검사(attended PSG)입니다. 미국수면의학회(AASM)에서는 PSG의 시행과 판독에 대한 지침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으며, 공인된 수면검사실은 이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PSG를 통해 성인의 수면 중 호흡장애를 평가할..
사건수면 (parasomnia)과 뇌전증 (epilepsy)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수면 중 발생하는 복잡하고 위험할 수 있는 행동들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야간 비디오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와 확장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가 종종 필요합니다. 특히 성인기에 이런 행동들이 발생하거나 원인이 불확실할 때 확정 진단을 위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렘수면행동장애(RBD), 비렘수면 각성 사건, 수면 관련 발작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PSG 검사 기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EEG 해석 시 정상 변이나 인공산물(artifact)과 감별해야 할 뇌전증모양방전(epileptiform discharge)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1. 비렘수면 사건(NREM Parasomnia)의 PSG 소견 비렘수면 사건은 주로 수면의 전..
수면 중 이상 움직임 평가를 위한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수면 중 움직임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에서 흔히 관찰되며 대개는 양성입니다. 그러나 일부 움직임은 수면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주간 증상이나 부상을 초래할 때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수면 관련 주기적 사지 운동(PLMS), 하지 경련, 이갈이, 과도한 단편적 근간대경련(EFM) 등 몇 가지 특정 수면 관련 움직임과 그 수면다원검사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1. 수면다원검사의 기술적 요점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 여러 생리적 변수를 동시에 기록합니다: 안전도(EOG)는 안구 운동을 포착합니다. 뇌파(EEG)는 뇌파 활동을 포착합니다. 근전도(EMG)는 근육 활동/움직임을 포착합니다. 심전도(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포착합니다. 호흡기류는 호흡 ..
유아와 소아에서 수면다원검사의 개요 (Overview of Polysomnography in Infants and Children)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는 수면 중 여러 생리학적 지표들을 동시에 측정하여 수면 상태를 평가하고 수면장애를 진단하는 표준 검사법입니다. 최근 어린 소아들도 수면장애로 인해 수면 클리닉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어, 소아에서의 PSG 검사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성인에 비해 소아는 PSG 검사 과정이 힘들거나 두려울 수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소아에서 PSG의 적응증, 검사 방법, 측정 변수, 판독 및 해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SG의 종류와 적응증 미국수면의학회(AASM)에서는 PSG를 측정 채널 수와 검사자 상주 여부에 따라 1-4단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중 1단계 PSG는 수면검사실에서 검사자 감시 하에 뇌파, 안전도, 하악근전도, 심..
성인에서 수면다원검사의 개요 (Overview of Polysomnography in Adults)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는 수면 관련 호흡장애를 진단하는 표준검사로, 기면증, 수면 관련 운동장애, 사건수면 등 다양한 수면장애의 진단에도 임상 병력 및 다른 검사들과 함께 사용됩니다. PSG 중 환자는 여러 감시장치에 연결된 채로 수면을 취하게 되며, 이를 통해 수면 중 다양한 생리학적 변수들이 측정됩니다. PSG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이상 소견들은 수면호흡장애를 비롯한 많은 수면질환들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성인에서 시행되는 PSG의 수행 방법과 측정 변수, 적응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SG의 수행 방법 PSG는 수면 중 다양한 생리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를 여러 감시장치에 연결하여 시행합니다. 검사 중 환자는 수면검사실에서 숙면을..
성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에서 양압기 적정을 위한 치료모드 선택 (Mode Selection for Titration of Positive Airway Pressure in Adul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 환자의 대부분에서 양압기 치료(Positive airway pressure, PAP)가 핵심적인 치료법입니다. 양압기 치료 시 개별 환자에게 최적의 압력 설정을 찾기 위해서는 적정(Titration) 과정이 필요한데, 이 때 어떤 치료모드를 선택할 것인지, 그리고 적정을 어디에서 시행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OSA 환자에서 PAP 적정 시 초기 치료모드와 적정 장소 선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초기 치료모드와 적정 장소의 선택 OSA 환자에서 PAP 적정 시 사용할 수 있는 치료모드로는 고정형 지속압력(Fixed-level continuous PAP, CPAP), 자동형 지속압력(Auto-titrating CP..
성인 중추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양압기 치료모드의 선택 (Mode Selection for Positive Airway Pressure Titration in Adult Patients with Central Sleep Apnea Syndromes) 중추성 수면무호흡증후군(Central sleep apnea syndromes, CSAS)은 수면 중 호흡노력과 기류가 모두 소실되는 질환으로, 일차성 또는 심부전, 마약성 진통제 사용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압기 치료(Positive airway pressure, PAP)는 CSAS 환자에서 무호흡을 해소하고 치료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주된 치료법이며, 개별 환자에 맞는 최적의 압력 설정을 위해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상에서의 적정(Titration)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CSAS 환자의 원인에 따른 PAP 적정 시 치료모드 선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CSAS의 진단과 원인 CSAS는 PSG상 무호흡과 무호흡 관련 각성이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