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유아와 소아에서 수면다원검사의 개요 (Overview of Polysomnography in Infants and Children)

반응형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는 수면 중 여러 생리학적 지표들을 동시에 측정하여 수면 상태를 평가하고 수면장애를 진단하는 표준 검사법입니다. 최근 어린 소아들도 수면장애로 인해 수면 클리닉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어, 소아에서의 PSG 검사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성인에 비해 소아는 PSG 검사 과정이 힘들거나 두려울 수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소아에서 PSG의 적응증, 검사 방법, 측정 변수, 판독 및 해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SG의 종류와 적응증

미국수면의학회(AASM)에서는 PSG를 측정 채널 수와 검사자 상주 여부에 따라 1-4단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중 1단계 PSG는 수면검사실에서 검사자 감시 하에 뇌파, 안전도, 하악근전도,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 최소 7개 채널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소아 수면장애 진단의 표준으로 여겨집니다.

소아에서 PSG의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 등 수면 관련 호흡장애의 진단 및 치료 반응 평가
  • 편도선-아데노이드 절제술 전 OSA 위험도 평가
  • 양압기(PAP) 치료의 적정(Titration)
  • 기면증, 사건수면 등 다른 수면장애의 진단
  • 원인 불명의 과다 주간 졸림증 평가

2. 소아 친화적인 PSG 검사법

성인과 달리 어린 소아는 PSG 검사 과정에 불안감을 느끼거나 저항할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검사를 위해서는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설명, 사전 준비, 놀이 요법 등을 활용한 소아 친화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검사 전 소아와 보호자에게 PSG 과정을 연령에 맞게 설명하고 익숙한 장난감 등을 가져오도록 안내합니다.
  • 전극 부착 시 억지로 눕히기보다 부모 무릎에 앉히는 등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인형 등으로 시범을 보이며 흥미를 유발합니다.
  • 과민한 소아의 경우 검사실 적응을 위해 수면제 사용, 점진적 노출 훈련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소아는 수면 시간이 길기 때문에 검사자의 교대 근무가 필요하며, 렘수면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아침 늦게까지 측정을 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3. PSG에서 측정하는 변수들

소아 PSG에서는 수면 단계와 각성을 평가하기 위해 뇌파(EEG), 안전도(EOG), 하악근전도(Chin EMG)를 기록합니다. 호흡 평가를 위해서는 코골이 감지 마이크, 구강-비강 열전대와 비강 캐뉼라, 호흡유도체적기록기(RIP), 맥박산소측정기, 이산화탄소 측정기 등 다양한 센서를 부착합니다. 또한 사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양측 전경골근의 근전도를 측정하며, 비디오 기록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측정 변수들을 통해 무호흡, 저호흡, 각성, 산소포화도 저하, 사지 운동 등의 이상 사건들이 확인되며, 각 사건의 빈도와 지속 시간, 수면 단계 및 체위와의 연관성 등이 분석됩니다.

4. 소아 PSG의 판독과 해석

검사 후 PSG 데이터는 30초 간격의 구간(Epoch)으로 나누어 수면 단계와 각성을 구분하고, 호흡 사건, 사지 운동, 행동 이상 등을 표시하게 됩니다(Scoring). 영유아의 경우 성인과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렘수면(Stage R), 비렘수면(Stage N), 이행기 수면(Stage T) 등으로 구분합니다.

판독 결과는 시간에 따른 수면 단계의 변화를 나타내는 요약표(Hypnogram)와 함께 보고서로 작성되며, 주요 이상 소견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됩니다.

  • 무호흡, 저호흡 등 수면 호흡장애
  • 빈번한 각성과 그 원인
  • 수면 잠복기의 단축 또는 지연
  • 렘수면 잠복기의 단축
  • 렘수면 소실 또는 렘수면 시 근긴장 소실
  • 과다한 체위 변경, 사지 운동, 렘수면 행동장애
  • 뇌파의 이상 소견이나 발작파

이러한 PSG 결과는 임상 병력 및 신체 진찰 소견과 함께 종합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OSA, 기면증, 사건수면, 주기성사지운동장애 등 다양한 수면장애의 진단이 가능해집니다.

5. 소아 PSG의 제한점과 대안

소아에서 PSG는 수면의 질과 양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준검사법이지만, 검사실 환경으로 인한 수면 구조의 변화(First-night effect), 검사 중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 왜곡 등의 제한점이 있습니다.

또한 PSG 검사실의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검사 대기 시간이 긴 경우가 많아, 일부에서는 간이형 호흡 검사, 야간 산소포화도 검사 등의 대안적 방법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검사들은 PSG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우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가급적 PSG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6. 결론

PSG는 소아 수면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그러나 어린 아동에게는 검사 과정이 부담스러울 수 있어, 소아의 특성을 고려한 친화적 검사 기법이 필요합니다. 숙련된 검사자가 다양한 생리 지표를 정확히 측정하고, 연령에 맞는 판독 기준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소아 수면장애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수면 문제로 고민 중인 아이들이 있다면 전문 수면 클리닉을 방문하여 PSG를 포함한 체계적인 평가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