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 발생하는 복잡하고 위험할 수 있는 행동들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야간 비디오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와 확장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가 종종 필요합니다. 특히 성인기에 이런 행동들이 발생하거나 원인이 불확실할 때 확정 진단을 위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렘수면행동장애(RBD), 비렘수면 각성 사건, 수면 관련 발작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PSG 검사 기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EEG 해석 시 정상 변이나 인공산물(artifact)과 감별해야 할 뇌전증모양방전(epileptiform discharge)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1. 비렘수면 사건(NREM Parasomnia)의 PSG 소견
비렘수면 사건은 주로 수면의 전반부에 N3 또는 N2 수면에서 빈맥과 함께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성 중 EEG에서는 느린 알파와 세타파가 혼재되어 나타나거나, 율동적이고 과동기화된 델타파 또는 세타파, 또는 고진폭 델타파에 알파파와 베타파가 섞여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면 박탈과 청각 자극은 검사 중 사건 포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렘수면행동장애(RBD)의 PSG 소견
렘수면 중 꿈 행동과 함께 긴장성 및 위상성 근전도(EMG) 활성 증가가 RBD의 특징입니다. 자동탐지 소프트웨어와 RBD에서 위상성 EMG 활성이 가장 높은 근육을 사용한 대체 EMG 유도를 활용하면 민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수면 관련 뇌전증의 PSG 소견
수면 관련 뇌전증으로 PSG를 의뢰받은 환자의 대부분은 측두엽이나 전두엽에서 발생하는 국소 뇌전증입니다. 이런 경우 확장 EEG에서 수면에서 전형적인 발작이나, 특히 비렘수면에서 뇌전증모양방전(ED)이 증가된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한 밤 사이 여러 번 발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ED는 정상 변이 및 비대뇌성 인공산물과 감별되어야 합니다. 발작 중 정상 EEG는 뇌전증 진단을 배제하지 않습니다. 일부 발작 병소는 두피 EEG에서 포착하기에 너무 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EEG 문제 해결
PSG와 EEG에서 의심스러운 패턴이 나타날 때는 시간 축 변경, 필터 설정 및 감도 조절, 다양한 몽타주(montage)에서 EEG 검토 등 다양한 단계를 통해 해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패턴이 여전히 의문스러운 경우 시간 동기화 비디오 기록을 검토하고 임상 뇌파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5. 결론
야간 비디오 PSG와 확장 EEG 검사는 수면 중 발생하는 복잡하고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는 행동의 원인을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비렘수면 사건, 렘수면행동장애, 수면 관련 뇌전증 각각은 PSG에서 특징적인 소견을 보입니다. 하지만 정상 변이나 인공산물로 인해 해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판독이 필요합니다. 이상 소견이 지속될 경우 임상 뇌파 전문의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졸음을 정량화하기 (0) | 2024.04.20 |
---|---|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를 이용한 수면 중 호흡장애의 평가 (0) | 2024.04.19 |
수면 중 이상 움직임 평가를 위한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0) | 2024.04.18 |
유아와 소아에서 수면다원검사의 개요 (Overview of Polysomnography in Infants and Children) (0) | 2024.04.18 |
성인에서 수면다원검사의 개요 (Overview of Polysomnography in Adults)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