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는 수면 관련 호흡장애를 진단하는 표준검사로, 기면증, 수면 관련 운동장애, 사건수면 등 다양한 수면장애의 진단에도 임상 병력 및 다른 검사들과 함께 사용됩니다. PSG 중 환자는 여러 감시장치에 연결된 채로 수면을 취하게 되며, 이를 통해 수면 중 다양한 생리학적 변수들이 측정됩니다. PSG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이상 소견들은 수면호흡장애를 비롯한 많은 수면질환들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성인에서 시행되는 PSG의 수행 방법과 측정 변수, 적응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SG의 수행 방법
PSG는 수면 중 다양한 생리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를 여러 감시장치에 연결하여 시행합니다. 검사 중 환자는 수면검사실에서 숙면을 취하게 되며, 숙련된 검사자가 수면 단계와 각종 이상 사건들을 확인하고 기록합니다.
- 검사 전 카페인, 알코올 등은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이 의심되는 환자는 평소 복용하던 약물을 검사 당일에도 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심한 불면증이 있거나 검사실 수면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경우 수면제 처방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PSG에는 밤 동안 전 과정을 시행하는 방법(Full-night protocol)과, 전반부에는 진단을 위해 후반부에는 양압기 적정(Titration)을 위해 시행하는 방법(Split-night protocol)이 있습니다.
교대근무자 등 주간 수면을 취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낮 시간에 검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Daytime PSG).
2. PSG의 적응증과 금기증
PSG는 OSA를 비롯한 수면호흡장애의 진단과 양압기 적정, 치료 효과 판정 등에 주로 이용됩니다.
그 외에도 주기성 사지운동증, 사건수면, 렘수면 행동장애, 과다 주간 졸림증 등의 평가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검사 당시 환자의 전신 상태가 안정적이어야 하며, 활동성 호흡기 감염이나 급성 통증으로 고용량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 중인 경우 등은 검사를 연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 PSG에서 측정하는 변수들
PSG에서는 다음과 같은 생리학적 변수들을 필수적으로 측정하게 됩니다:
-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 안구운동(Electrooculography, EOG), 턱밑근전도(Submental electromyography, EMG) : 수면 단계 구분
- 호흡노력(Respiratory effort) : 식도내압측정, 호흡유도체적변동술, 횡격막/갈비사이근전도 등으로 평가
- 기류(Airflow) : 코압력센서(Nasal pressure transducer), 온도감지센서(Thermistor) 등으로 측정
- 코골이 : 목에 부착한 마이크로 감지
- 산소포화도 : 맥박산소측정기로 지속 감시
- 심전도 : 부정맥 감지
또한 다음 변수들도 함께 측정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 체위(Body position) : 수면 중 체위에 따른 이상 호흡 사건 발생 여부 확인
- 사지운동(Limb movements) : 양측 전경골근(Anterior tibialis)의 근전도로 측정
아울러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영상 감시도 환자 모니터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PSG 결과의 해석
PSG를 통해 얻어진 방대한 양의 데이터는 수면장애 진단에 전문 훈련을 받은 전문가에 의해 분석 및 해석되어야 합니다. PSG 보고서에는 측정된 여러 변수들이 그래프와 표로 요약되어 제시됩니다.
주요 결과 지표로는 총 수면시간(Total sleep time), 수면효율(Sleep efficiency), 수면잠복기(Sleep latency), 렘수면잠복기(REM sleep latency), 각성(Arousal) 횟수, 무호흡(Apnea)과 저호흡(Hypopnea)의 정도와 양상,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호흡노력 관련 각성(Respiratory effort-related arousal), Cheyne-Stokes 호흡, 코골이 정도, 체위에 따른 이상 호흡 사건, 산소포화도의 변화, 사지운동 지수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PSG 중 관찰된 뇌파의 이상 소견이나 발작 증거, 수면 중 반복적 움직임 등도 반드시 기술되어야 합니다.
5. 결론
PSG는 OSA를 포함한 다양한 수면장애의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환자는 수면 중 여러 생리학적 변수를 측정하는 감시장치에 연결된 채 숙면을 취하게 되며, 훈련된 검사자가 이상 호흡 사건, 수면 단계, 체위, 사지운동 등을 확인합니다. 전문가에 의해 분석 및 해석된 PSG 결과는 수면장애의 진단뿐 아니라 양압기 적정이나 치료 반응 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면 문제로 고민 중이라면 수면 클리닉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의 후 필요 시 PSG를 포함한 수면검사들을 시행 받는 것이 도움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