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상기도 폐쇄로 인해 반복적인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발생하는 흔한 수면장애입니다. 재택 수면검사(Home sleep apnea testing, HSAT)는 병원이 아닌 집에서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 반응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택 수면검사의 종류와 장단점, 적응증과 한계점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재택 수면검사의 종류
수면검사 장비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타입 1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로 병원에서만 시행 가능한 검사이고, 타입 2-4는 재택에서도 시행 가능한 휴대용 장비들입니다.
- 타입 2 장비: 수면다원검사와 동일한 변수들을 측정하지만 병원이 아닌 집에서 시행되며 검사 중 기사가 상주하지 않음. 불편하고 데이터 손실이 많아 잘 사용되지 않음.
- 타입 3 장비: 호흡 노력, 기류,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 4-7가지 생리학적 변수를 측정함. 최근에는 말초동맥촉진술(Peripheral arterial tonometry, PAT), 움직임 감지(Actigraphy) 등을 추가로 측정하는 장비들도 개발됨.
- 타입 4 장비: 산소포화도, 기류, 움직임 등 1-2가지 변수만을 측정함.
2. 재택 수면검사의 장단점
재택 수면검사는 집에서 편하게 시행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면다원검사에 비해 측정 변수가 적어 정보가 제한적이고, 검사 도중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3. 재택 수면검사의 적응증
재택 수면검사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임상증상으로 보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의 진단 목적
- 양압기(PAP), 구강 내 장치, 수술 등 수면무호흡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경우
그러나 양압기 압력을 적정화(Titration)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4. 재택 수면검사의 한계점
재택 수면검사는 각성 반응을 잘 감지하지 못하고,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를 과소평가할 수 있으며, 자세에 따른 무호흡이나 야간 발작, 부정맥 등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수면 구조를 자세히 볼 수 없어 다른 수면장애가 의심될 때는 사용하기에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5. 재택 수면검사의 해석과 추적관찰
재택 수면검사는 숙련된 수면 전문가에 의해 처방, 판독, 추적관찰되어야 합니다.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의 지침에 따르면, 검사 결과 보고서에는 관찰 시간 동안의 호흡 이벤트 횟수를 나타내는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event index, REI) 또는 AHI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6. 결론
재택 수면검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 반응 평가에 있어 유용한 검사입니다. 하지만 수면다원검사에 비해 정보가 제한적이고 몇 가지 한계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대상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의 처방, 시행, 판독, 추적관찰 전 과정에 걸쳐 수면 전문가의 관리가 필요하며,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수면 문제로 고민 중이라면 수면 클리닉을 방문하여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