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수면장애의 분류와 진단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Sleep Disorders)

반응형

수면장애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수면장애는 서로 다른 증상과 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면장애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분류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국제수면장애분류 제3판 개정판(ICSD-3-TR)에 근거하여 수면장애의 분류와 진단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불면증 (Insomnia)

불면증은 수면의 양이나 질이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ICSD-3-TR에 따르면 불면증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단기 불면증(Short-term insomnia disorder): 3개월 미만 지속되는 불면증
  • 만성 불면증(Chronic insomnia disorder):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
  • 기타 불면증(Other insomnia disorder): 위의 두 가지 기준에 맞지 않는 불면증

불면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수면 개시나 유지의 어려움, 충분한 수면 기회와 환경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주간 기능장애 등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2. 수면관련 호흡장애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수면관련 호흡장애는 수면 중 비정상적인 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들을 말합니다.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중추성 수면무호흡증후군 (Central sleep apnea syndromes)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s)
  • 수면관련 저환기증후군 (Sleep-related hypoventilation disorders)
  • 수면관련 저산소증 (Sleep-related hypoxemia disorder)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를 통해 호흡 이벤트의 횟수와 양상을 평가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시간당 5회 이상의 폐쇄성 호흡 이벤트와 함께 주간 증상이 동반되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으로 진단합니다.

3. 중추성 과다졸림증 (Central Disorders of Hypersomnolence)

과다졸림증은 주간에 참기 힘든 졸림이 나타나는 질환들입니다.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포함됩니다:

  • 기면증 1형 (Narcolepsy type 1)
  • 기면증 2형 (Narcolepsy type 2)
  • 특발성 과다수면증 (Idiopathic hypersomnia)
  • 클라인-레빈 증후군 (Kleine-Levin syndrome)
  • 기타 과다졸림증 (의학적 질환, 약물, 정신질환 등에 의한 과다졸림증)

다중수면잠복기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를 통해 낮 시간의 졸림 정도와 REM 수면의 출현 여부를 평가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일주기리듬 수면각성장애 (Circadian Rhythm Sleep-Wake Disorders)

일주기리듬 수면각성장애는 수면-각성 주기가 환경적 요구나 사회적 규범에 맞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다음과 같은 유형들이 있습니다:

  • 지연수면위상장애 (Delayed sleep-wake phase disorder)
  • 진전수면위상장애 (Advanced sleep-wake phase disorder)
  • 불규칙 수면각성리듬장애 (Irregular sleep-wake rhythm disorder)
  • 비24시간 수면각성리듬장애 (Non-24-hour sleep-wake rhythm disorder)
  • 교대근무장애 (Shift work disorder)
  • 시차증후군 (Jet lag disorder)

수면일지나 액티그래피 검사로 수면-각성 패턴을 평가하고, 멜라토닌 분비 시점 등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5. 사건수면 (Parasomnias)

사건수면은 입면기, 수면 중, 각성 시에 나타나는 이상 행동이나 경험들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비렘수면 사건수면 (NREM-related parasomnias): 야경증, 수면보행, 수면 식사증 등
  • 렘수면 사건수면 (REM-related parasomnias): 렘수면 행동장애, 악몽장애, 수면마비 등
  • 기타 사건수면

사건수면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이상 행동이 나타나는 수면 단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수면관련 운동장애 (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s)

수면관련 운동장애는 수면을 방해하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운동들을 특징으로 합니다.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포함됩니다:

  •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 주기성사지운동장애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 수면관련 경련 (Sleep-related cramps)
  • 수면관련 이갈이 (Sleep-related bruxism)
  • 수면관련 율동운동장애 (Sleep-related rhythmic movement disorder)

수면다원검사에서 운동 이벤트의 횟수와 양상을 평가하여 진단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수면관련 운동장애로 분류되지만 수면 외에도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7. 결론

수면장애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진단기준이 있습니다. 자세한 병력청취와 함께 수면다원검사 등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장애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면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면 수면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도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