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면위생

(3)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불면증은 단순히 다른 질병의 이차적인 증상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임상적 관심을 받아야 하는 독립적인 수면장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만성 불면증 장애의 인지 행동 요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CBT-I)는 만성 불면증에 대한 1차 치료로 선호되는 비약물적 치료법입니다.인지행동치료의 이론적 기반은 불면증이 소인 (predisposing), 촉발 (precipitating), 지속 (perpetuating) 요인의 결과로 발생한다는 것과 잠자리 환경과 관련된 조건화된 각성 반응 때문에 불면증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이러한 지속 요인을 직접 다룹니다.인지행동치료의 구성요소 (Components of CBT-I)CBT-I는 수..
수면 부족 (Insufficient Sleep): 원인, 평가 및 관리 방법 수면 부족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공중 보건 문제입니다. 미국 성인의 거의 30%가 하루 6시간 이하로 수면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층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에서 수면 부족 비율이 더 높습니다. 수면 시간이 짧으면 심혈관 질환, 비만, 사망률 증가 등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수면 부족의 원인과 진단 기준, 평가 방법, 관리 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수면 필요량 (Sleep Requirements) 미국수면의학회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와 수면연구학회 (Sleep Research Society)는 18-60세 성인의 최적 수면 건강을 위해 매일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개인마..
질병과 약물로 인한 과도한 주간 졸림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수면 부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등 흔한 수면장애 외에도 다양한 질병과 약물이 과도한 주간 졸림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EDS는 부적절한 상황에서의 과도한 졸음, 낮잠, 운전 중 졸음으로 인한 사고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EDS는 치료 가능한 내과적 질환에 의해 발생하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원발성 수면장애를 넘어 EDS와 연관된 다양한 의학적, 신경학적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면 부족 (Insufficient Sleep) 수면 부족은 EDS의 가장 흔하고 간과하기 쉬운 원인입니다. 교대근무자, 육아나 간병으로 인한 수면 부족, 만성 통증 환자, 입원 환자 등이 수면 ..